티스토리 뷰
물가가 워낙 높아지고 있는 요즘이라 고정 지출이 점점 늘어만 가는 요즘인 것 같습니다. 자녀를 키우는 입장이라면 더욱 경제적으로 어려울 수 있을 텐데요. 정부에서 부모님들이 영아를 집중적으로 돌볼 수 있도록 돕게 하기 위해 부모급여 제도를 준비했습니다. 최대 월 7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으니 해당되신다면 끝까지 읽어보시고 필요한 정보 얻어가시길 바랍니다.
1. 부모급여 지원 신청 방법
신청방법은 ①복지로 사이트 온라인 신청, ②정부 24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 온라인 신청, ③주민센터 방문 총 세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.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①복지로 사이트 온라인 신청
복시로 사이트를 통해 온라인 신청을 하실 경우 아래 링크로 접속하셔서 신청 진행하시면 됩니다. 신청 전 공인인증서가 필요하니 미리 준비하셔서 로그인 후 진행하시면 됩니다.
②정부 24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 온라인 신청
정부 24를 통해 온라인 신청을 하실 경우 아래 링크로 접속하셔서 신청 진행하시기 바랍니다. 해당 페이지는 출산 후에 받을 수 있는 각종 수당들을 한 번의 통합신청으로 처리할 수 있는 곳이므로 출산한 지 얼마 되지 않은 가정은 유용하게 활용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.
③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
가까운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하여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. 신청 접수 후 대상자 통합조사 및 심사를 거쳐 대상자로의 확정 여부를 결정짓고 이후에 지원 여부가 결정됩니다. 아래 페이지를 통해 가까운 행정복지센터를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.
2. 부모급여 지원 대상
부모급여 지원 대상은 아래와 같습니다. 꼼꼼히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.
①연령요건
- 22년 1월 1일 이후 출생한 만 2세 미만의 아동(0~23개월)
②국적 및 주민등록 요건
-대한민국 국적을 보유한 아동.(부모가 모두 외국인이라도 아동이 한국 국적이면 요건은 충족됩니다.)
-국적법에 따른 복수 국적자
-난민법에 따른 난민 인정자(심사 진행 중인 경우는 제외
- 주민등록법에 따른 주민등록번호가 정상적으로 부여된 아동
-사회복지 전산관리번호(의료급여 전산관리번호) 부여 대상자 포함
- 주민등록법에 따른 거주불명자 중 실제 거주지가 확인되는 자 포함
3. 부모급여 지원 내용
지원은 대상아동이 가정에서만 양육될 경우 현금이 지급되며 어린이집 이용 시 보육료 바우처, 종일제 아이 돌봄 서비스 이용 시 종일제 아이 돌봄 바우처를 지급합니다. 만 0세와 만 1세 아동의 지원 금액이 다르니 아래 표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연령 | 만 0세 | 만 1세 | |
보육 | 시설 미이용 | 월70만원(현금) | 월35만원(현금) |
시설 이용 | 월51.4만원(바우처) +월18.6만원(현금 |
월51.4만원(바우처) |
4. 부모급여 지원 지급 방식
①지급 방식
현금지원: 매월 아동 또는 부모 명의 계좌로 지급됩니다.
보육료 및 종일제아이 돌봄: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51.4만 원 상당의 바우처가 지급됩니다.
②지급일
매월 25일에 입금되며 지급은 신청일이 속한 달부터 지급됩니다.
5. 부모급여 신청 시 구비할 서류
①필수 제출 서류
- 신청서 등 제출: 사회보장급여 신청서(공통서식 1호)
- 신분증: 주민등록증, 여권, 자동차운전면허증, 장애인등록증, 청소년증
②필요시 추가 제출 서류
- 필요한 경우 통장사본
- 보호자 여부 확인 등에 필요한 서류: 기본증명서, 법원판결문 등
- 난민의 경우: 아동의 난민인정 증명서
- 복수국적 또는 국외출생아동인 경우: 장기, 해외체류상태 여부 확인 필요
- 복수국적자의 경우: 기본증명서 상세, 가족관계증명서 사본 각 1부, 외국여권 사본 1부, 국내여권 사본 1부
- 복수국적자가 아닌 국외출생자: 국내여권 사본 1부
자세한 내용은 아래 게재된 2023년 부모급여 지원 사업안내 문서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. 부모급여 지원과 관련하여 안내가 자세히 되어 있으니 도움 받으실 수 있습니다.
이상으로 부모급여 지원 관련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. 출산 예정이거나 만 0세 이내 영아 자녀를 둔 부모님께서는 속히 신청하셔서 지원 꼭 받으시길 바랍니다.